팔꿈치나 어깨의 지긋지긋한 통증을 유발하는 힘줄 손상인 건염, 건증 등의 용어는 일반인이 쉽게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이 단어들을 잘 구분할 수 있다면, 여러분의 몸 상태를 이해하고 치료하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흔히 발생하는 힘줄 손상의 종류에 대해 빠르고 정확하게 알려드리겠습니다.
건(힘줄)은 섬유성 조직으로 구성되어 근육과 뼈를 연결하는 조직입니다. 이 힘줄 조직이 염증이 발생하거나 손상을 입었을 때 다양한 용어가 존재하며 주로 건염, 건증, 건병증, 건방염, 건초염, 건 파열 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건염과 건증의 차이점과 그 외의 힘줄 질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건염(힘줄염, Tendinitis)
과거 의료 전문가들은 모든 힘줄 통증을 건염이라고 표현했지만, 이제는 건염이라는 용어는 작은(미세한) 파열로 인한 힘줄의 급성 염증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건염의 일반적인 증상은 국소적인 통증과 부종 및 열감이 나타납니다.
건염은 특정 힘줄 또는 힘줄의 일부에 급성 손상이나 반복적인 미세 손상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염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국소적 통증과 부종 및 열감이 나타납니다. 일반적으로 건염은 해당 부위의 회복을 위해 충분한 휴식을 취해주고 소염제를 복용한다면 몇 주 안에 회복될 수 있습니다.
만성적인 힘줄의 염증은 건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2000년대 초반부터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흔히 건염으로 진단되는 힘줄의 질환이 실제로는 건증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건증(힘줄증, Tendinosis)
건증이란 힘줄의 비 염증성 퇴행을 뜻하며, 이 퇴행은 힘줄을 구성하는 섬유의 구조 또는 조직의 변화를 동반합니다. 이러한 퇴행성 변화는 손상된 힘줄이 충분히 회복되지 못하고 반복적인 스트레스와 손상을 받았을 때 발생합니다. 특히, 직장 및 일상생활에서 반복적인 동작을 많이 하는 사람 또는 스포츠 선수들에게 건증이 발생합니다.
만약 염증의 특징적인 증상인 국소적인 통증이나 부종 및 열감이 없고, 잠을 자거나 휴식 중에도 욱신거리는 듯한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다면 염증이 없거나 적은 상태이므로 소염제 복용이나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의 효과가 없을 수도 있습니다.
즉, 염증이 없으니 염증 치료의 효과가 없고 잘 회복되지 않는 힘줄의 만성 퇴행성 상태가 바로 이 건증입니다.
건염 vs 건증
건염과 달리 건증의 치료에는 몇 개월이 걸릴 수 있으며, 치료방법 또한 달라집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건증을 스테로이드성 또는 비스테로이드성 약물로 치료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이러한 약물들이 힘줄 섬유의 정상적인 재배열과 회복을 방해하고 구조를 약화시켜 장기적인 문제를 초래한다고 말합니다. 건염과 건증의 차이는 아래의 표에 간단히 정리해놓았습니다.
건염(힘줄염, Tendinitis) | 건증(힘줄증, Tendinosis) | |
급성의 회복기간 | 2~3일 | 2~3개월 |
만성의 회복기간 | 4~6주 | 3~6개월 |
비수술적 치료의 예후 | 약 99%가 완전회복 | 80% 이상이 완전회복 |
치료목표 | 휴식, 소염제, 냉찜질, 깁스 또는 반깁스를 통한 염증의 감소 |
물리치료, 운동치료, 수술을 통한 콜라겐 및 기타 단백질의 형성 촉진 |
수술적 치료의 예후 | 약 95%가 수술 후 완전회복 | 70~85%가 수술 후 완전회복 |
수술 후 회복기간 | 3~4주 | 4~6주 |
건병증(힘줄 병증, Tendinopathy)
건병증은 일반적으로 힘줄에 관련된 모든 문제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만약 건병증이라는 진단을 받았다면, 자신의 상태를 정확히 알기 위해 진단명을 명확히 하도록 의사에게 요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건방염과 건초염
우리 몸의 수많은 힘줄 중 일부는 얇은 막으로 구성된 외피에 둘러쌓여있습니다. 아킬레스건의 경우 건방(Paratedon)이 둘러싸고 있으며, 손목과 손 등의 힘줄은 건초(윤활막, Synovial sheath)가 둘러싸고 있습니다.
건방에 염증이 발생하면 건방염(Paratenonitis), 건초에 염증이 발생하면 건초염(tenosynovitis)라고 합니다. 건초염은 간단한 검사로 진단할 수 있지만, 건방염은 생검 없이는 명확하게 진단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두 질환 모두 염증을 줄이고 움직임을 제한하는 방법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건 파열(힘줄 파열)
힘줄이 찢어지면 힘줄 파열이라고 합니다. 힘줄이 찢어져 완전히 분리되면 완전 파열(Complete rupture), 일부만 파열되어 힘줄의 연속성은 유지된다면 부분 파열(Partial rupture)이라고 합니다. 또한, 힘줄 파열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급성 파열은 한순간에 나타나는 손상으로, 손상 즉시 통증과 관절 기능의 감소가 나타나고 부종이나 멍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만성 파열은 짧은 기간 동안 서서히 악화되는 힘줄의 부분적 파열이며, 치료되지 않고 방치된 급성 파열도 해당됩니다.
마무리
여러분의 통증은 어떤 식으로 나타나시나요? 특정 동작을 할 때만 아픈지, 움직이지 않아도 아픈지, 자다가도 아파서 깨는지, 욱신거리는지, 화끈거리는지, 콕콕 쑤시는지, 부종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통증의 형태에 따라 염증과 비염증을 구분할 수 있으며, 통증이 언제부터 시작되어 지금까지 이어지는지와 내가 어떤 동작을 많이 하는지에 따라서 치료 방법도 달라져야 합니다.
건염의 경우 소염제나 스테로이드 주사로 효과를 볼 수 있지만, 건증의 경우 물리치료, 운동치료, 체외충격파 치료 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이러한 정보를 의료 전문가에게 제공하지 않는다면 정확한 진단은 어려워질 수밖에 없습니다. 많은 분들이 적극적으로 진료에 임하여 보다 정확하고 효과적인 치료를 받아 빠르게 쾌유하시길 바랍니다.
※ 건염 또는 건증으로 인한 테니스 엘보, 회전근개 건염, 석회화 건염, 아킬레스 건염 등 쉽게 치료되지 않는 힘줄 질환들은 심한 경우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을 하기 전에 체외충격파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체외충격파 치료에 대한 정보는 위쪽의 '바로가기'를 눌러주세요
'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킬레스건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0) | 2023.06.16 |
---|---|
손목터널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0) | 2023.06.04 |
테니스 엘보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 (0) | 2023.05.29 |
족저근막염의 증상과 치료 (0) | 2023.05.26 |
체외충격파 치료의 효과와 비용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