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음식을 씹거나 하품 시 턱의 통증 및 딱딱거리는 소리가 나며
심한 경우 입을 열기 어려워지는 턱관절 장애의 원인과 증상, 셀프 치료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턱관절(tempromandibular joint)이란?
턱관절은 아래턱과 두개골(측두골)을 연결하는 관절로서 귀의 바로 앞쪽에 존재합니다.
흔히 알고 있듯이 경첩처럼 열리기도 하지만 여러 개의 근육이 관여하며 아래턱을 위아래, 좌우, 앞뒤로 움직이기도 합니다.
이 관절이 잘 정렬되어 있다면 부드러운 근육 움직임을 통해 씹기, 말하기, 하품하기, 삼키기가 가능해집니다. 만약 이 구조들(근육, 인대, 디스크, 뼈)의 정렬이 어긋나있는 경우 비대칭 움직임 또는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턱관절 장애(temporomandibular disorder)란?
턱관절 장애는 턱 근육, 턱 관절, 신경에 의한 만성 얼굴 부위 통증을 말합니다. 특히 하악과 관련된 근육과 뼈, 관절의 복합적인 조화로운 움직임을 방해하는 경우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국 국립 치과 및 두개안면 연구소에서는 턱관절 장애를 아래와 같이 분류하고 있습니다.
근막동통 증후군
근막동통 증후군은 근육 섬유에 형성된 비정상적인 결절에 의해 문제가 발생하는 것으로 턱관절 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는 목과 어깨, 턱의 관절을 조절하는 근육과 근막에 불편감 또는 통증, 기능 제한을 유발합니다.
관절 부정렬
관절 부정렬은 턱의 탈구 또는 아탈구, 디스크의 위치 결함(놀랍게도 디스크는 척추에만 있는 것이 아닙니다!), 두개골의 측두골과 턱뼈를 연결하는 관절 자체의 손상이 원인이 됩니다.
퇴행성 관절염
골관절염 또는 류머티즘 관절염으로 인해 발생합니다.
이러한 원인들은 단 하나만 발생할 수도 있고 여러 가지가 같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턱 통증의 다양한 원인
많은 사람들에게서 이 질환의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때때로 씹기, 삼키기, 말하기를 조절하는 근육들의 과도한 좌상(strain, 근육의 손상)이 주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턱 주변 근육의 좌상은 무의식적으로 치아를 꽉 무는 습관이나 이갈이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질긴 음식을 즐겨 먹거나 한쪽으로만 씹는 습관, 턱 괴기, 옆으로 누워 자는 자세 등도 턱관절 장애를 유발하는 나쁜 습관에 해당됩니다.
턱 주변 근육 자체의 문제 외에도 머리나 목의 외상 또는 디스크의 관절염 및 이탈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앞서 언급한 "미국 국립 치과 및 두개안면 연구소"의 최근 연구에서 만성 턱관절 장애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요인으로 심리적, 감각적, 유전적, 신경계 문제 등이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심리적 요인에는 대표적으로 부정교합, 스트레스, 불안, 우울, 긴장, 신경과민이 있으며, 과도한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사회적 요인도 포함됩니다.
턱관절 장애의 증상
턱관절 장애의 가장 흔한 증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 턱의 불편감 또는 통증(주로 아침 또는 늦은 오후에 가장 심함)
- 두통
- 어지러움
- 눈 뒤, 얼굴, 어깨, 목 또는 등에 퍼지는 통증
- 귀 통증 또는 귀에서 울리는 소리
- 턱의 덜컹거림 또는 갈리는 소리
- 턱이 잠겨 움직이지 않음
- 치아를 꽉 물거나 수면 중 이갈이
- 구강에 문제가 없으나 치아의 과민
- 손가락의 마비 또는 이상 감각
- 위턱과 아래턱 치아의 맞물림 위치 변화
위 증상들은 턱관절 장애뿐만 아니라 다른 문제에서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반드시 턱관절 또는 치아, 기타 근골격계 전문가의 정확한 분석이 필요합니다.
예방
턱관절 장애 예방을 위해 식생활이나 생활습관의 교정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 체내 전해질 불균형을 유발하여 근육의 문제를 유발하는 카페인, 소금, 질산염, 알코올 등의 섭취 관리
- 딱딱하고 질긴 음식의 섭취 제한
- 과도하게 입을 크게 벌리지 않도록 주의
- 턱관절은 목이나 등, 신체의 전체적인 균형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바른 자세를 유지
- 증상을 유발하는 동작의 반복을 줄일 것
턱관절은 귀 바로 앞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특히 측두골과 연결된 근육들이 너무 긴장하거나 정상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면 턱관절까지 영향을 미치며 통증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먼저 관리해야 할 근육은 귀의 바로 뒤쪽에서부터 흉골(복장뼈), 쇄골까지 연결된 흉쇄유돌근입니다.
흉쇄유돌근의 단축 및 긴장은 턱의 주변 조직과 유착을 일으켜 정상적인 턱 움직임을 방해하고 통증 등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아래 흉쇄유돌근 셀프 마사지와 스트레칭 영상을 보시고 턱관절 관리 시작해 보시는 게 어떨까요?
녹양동 헬스매니아는 물리치료사 출신 전문 트레이너가 상주하며
일상생활의 불편을 해결하기 위해 고객의 니즈와 컨디션에 맞게
안전하고 건강한 개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프로그램 무료체험 및 기타 상담 문의
010-9863-8770
주소
경기도 의정부시 체육로 90 종합운동장(녹양동) 내 헬스매니아
※ 무료주차 가능 ※
의정부 녹양동 녹양 가능동 가능
헬스 피티 PT 자세교정 체형교정 재활 운동 재활운동 재활센터 운동센터 다이어트 선수재활 선수컨디셔닝 컨디셔닝마사지 컨디셔닝
의정부헬스 의정부피티 의정부PT 의정부자세교정 의정부체형교정 의정부재활 의정부운동 의정부재활운동 의정부재활센터 의정부운동센터 의정부다이어트 의정부선수재활 의정부선수컨디셔닝 의정부컨디셔닝마사지 의정부컨디셔닝
녹양동헬스 녹양동피티 녹양동PT 녹양동자세교정 녹양동체형교정 녹양동재활 녹양동운동 녹양동재활운동 녹양동재활센터 녹양동운동센터 녹양동다이어트 녹양동선수재활 녹양동선수컨디셔닝 녹양동컨디셔닝마사지 녹양동컨디셔닝
가능동헬스 가능동피티 가능동PT 가능동자세교정 가능동체형교정 가능동재활 가능동운동 가능동재활운동 가능동재활센터 가능동운동센터 가능동다이어트 가능동선수재활 가능동선수컨디셔닝 가능동컨디셔닝마사지 가능동컨디셔닝
'Medicin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혜부 내전근 좌상의 원인과 증상 (0) | 2024.02.26 |
---|---|
중둔근(gluteus medius) (0) | 2024.02.26 |
등 결림! 근막동통증후군의 원인과 증상 (0) | 2024.02.22 |
흉곽 출구의 구조와, 스트레칭까지 (0) | 2024.02.21 |
흉곽 출구 증후군 원인과 증상, 스트레칭까지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