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dicine41 대퇴직근(넙다리 곧은근, Rectus femoris) 오늘은 고관절과 무릎을 움직이는 대퇴직근(Rectus femori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골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둔근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그림을 클릭해주세요!대퇴직근이란?외측광근, 내측광근, 중간광근과 함께 대퇴사두근의 일부로서 허벅지의 앞쪽에 위치한 큰 근육으로서 무릎을 펴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대퇴사두근 중에서도 특별히 무릎과 고관절을 통과하여 고관절을 굽히는 기능도 합니다. 대퇴사두근의 네 근육 덩어리는 대퇴사두근 힘줄로 합쳐져 슬개골에 연결됩니다. 대퇴직근은 두관절 근육입니다. 그말인 즉 두 관절에서 동시에 작용하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러한 특성은 보행, 달리기, 점프 등 다양한 활동에서 고관절과 무릎관절 사이에 힘을 효율적으로 전달하며, 하지의 조화로운 운동을 도와줍니다.. 2024. 2. 29. 비특이적 경추 통증 관리를 위한 경추 도수치료가 상부 흉추 도수치료와 함께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효과; 무작위 대조군 실험 Effectiveness of manual therapy to the cervical spine with and without manual therapy to the upper thoracic spine in the management of non-specific neck pai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초록 목적 : 비특이적 경추 통증 관리를 위한 경추 도수치료가 상부 흉추 도수치료와 함께 적용한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의 효과를 비교하기 위함이다. 방법 : 2016년 10월부터 2017년 1월까지 Pakistan Peshawar에 있는 3개 병원에서 비특이적 경추 통증을 호소하는 25~60세 환자를 대상으로 무작위 대조 실험을 실시하였다. 대조군은 경추 도수치료를,.. 2024. 2. 28. 전거근(앞톱니근, Serratus anterior) 오늘은 견갑골과 갈비뼈를 연결해 주는 전거근(Serratus anterior)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골반의 안정화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둔근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그림을 클릭해주세요! 전거근이란?흉곽의 가쪽에 위치한 부채 모양의 근육으로서 견갑골과 대흉근, 소흉근의 아래 깊은 곳에 위치합니다. 견갑골의 안쪽 면에 붙어있는 견갑하근보다 바로 아래에 존재하여 supraserratus brusa와 같은 윤활낭에 의해 의해 서로 분리됩니다. 흉근과 광배근 사이로 손을 넣어 흉곽 쪽을 만져보면 전거근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깊은 곳에 존재하는 근육임에도 불구하고 체지방률이 낮은 운동선수의 경우 눈으로도 근육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기시와 정지점에 따라 이 근육은 위, 중간, 아래의 세 부분으로 구분됩니다.. 2024. 2. 27. 서혜부 내전근 좌상의 원인과 증상 오늘은 서혜부와 허벅지 안쪽에서 쑤시고 뻐근한 통증이 발생하는서혜부 좌상의 원인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아래는 고관절의 안정화에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하는 중둔근에 대한 글입니다.골반이 처지거나 불안정한 느낌으로 강화운동이 필요하시다면 아래 글 확인 부탁드립니다!서혜부 좌상(groin strain)허벅지 안쪽을 촉진하거나 다리를 모으는 동작에 저항을 가했을 때 내전근(hip adductor)의 근육 및 힘줄, 좌골 부위에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는 서혜부(팬티라인과 허벅지 안쪽)에 위치하는 내전근의 좌상이 원인인 경우가 많으며 하키 선수나 축구 선수에서 흔히 발생합니다. 하키나 축구 같은 스포츠는 훈련과 경기 도중에 내전근의 강한 신장성 수축(eccentric contraction, 늘.. 2024. 2. 26. 이전 1 2 3 4 5 6 7 ··· 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