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cine

햄스트링(hamstrings)

by KFL 2024. 2. 19.

햄스트링

안녕하세요 토리운동센터 총괄팀장입니다. ​

 

오늘은 현대인들이 달고사는 짧아진 햄스트링의 문제점스트레칭 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햄스트링이란?

햄스트링은 허벅지 뒤쪽에 존재하는 근육으로서 무릎을 굽히고 고관절을 펴는 근육입니다.

 

햄스트링은 대퇴이두근(biceps femoris), 반막근(semimembranosus), 반건양근(semitendinosus)를 통틀어 일컫는 용어입니다.

 

이 햄스트링은 쉽게 긴장 및 단축되고 요통을 유발할 수 있는 근육입니다.


햄스트링
출처 : https://health.chosun.com/

햄스트링의 해부학

1. 대퇴이두근

대퇴이두근은 "이두"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머리가 두개(장두와 단두), 즉 두 갈래로 나뉘는 근육입니다.

 

1) 대퇴이두근 장두

좌골결절에서 비골(종아리뼈)의 머리 부분과 경골의 가쪽까지 연결되는 근육

 

2) 대퇴이두근 단두

대퇴골 뒤쪽에서 비골의 머리 부분과 경골의 가쪽까지 연결되는 근육

 

이 두 갈래는 시작점은 다르지만 결국 같은 곳에서 모이며 무릎관절을 굽히며, 장두의 경우 골반과 연결되어 고관절을 펴는 기능을 합니다. 또한, 이미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는 다리를 바깥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합니다.

 

2. 반막근과 반건양근

이 두 근육 모두 좌골결절에서 경골의 안쪽까지 연결되는 근육입니다. 대퇴이두근과 마찬가지로 무릎을 굽히고 고관절을 펴는 기능을 합니다. 하지만 이 근육들은 무릎의 안쪽에 붙어 있어 무릎이 굽혀진 상태에서는 다리를 안쪽으로 돌리는 기능을 합니다.


햄스트링
출처 : https://dubinchiro.com/

햄스트링의 기능

햄스트링은 무릎을 굽히고 고관절을 펴는 기능을 하므로 정상적인 보행 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발을 지면에 디딜 때 충격을 흡수해 무릎과 고관절을 보호하고, 다리를 앞으로 보내는 과정에서 다리의 속도를 조절해 줍니다.

 

또한, 똑바로 서있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대퇴사두근과 함께 협동 및 대항근으로 작용하여 정상적인 움직임을 돕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햄스트링 근육들은 골반(좌골)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햄스트링의 수축으로 골반을 당기게 되면 흔히 알고 있는 골반의 후방경사가 일어납니다.


그럼 햄스트링은 강하고 클수록 좋은 건가?

햄스트링과 고관절 및 허리 통증

햄스트링은 고관절을 펴는 근육입니다. 햄스트링과 마찬가지로 고관절을 펴는 근육은 둔근이 있으며, 둔근은 고관절의 안정성에 큰 기여를 하는 근육입니다.

 

같은 동작을 유발하는 두 근육 중 햄스트링이 더 우세하게 되면 둔근의 활성은 감소하게 되고 근육의 균형이 무너지기 시작합니다. 점차 기능이 감소한 둔근은 흔히 알고 있는 "엉덩이 기억상실 증후군"이 발생하여 사용하고 싶어도 어떻게 사용하는지 몸이 까먹는 상태가 됩니다.

 

햄스트링
출처 : https://orthofixar.com/

 

또한, 둔근은 고관절의 안정성에 기여하지만 둔근의 기능을 대체한 햄스트링의 과사용으로 인해 고관절의 전방활주와 같은 관절의 불안정성 및 부정렬이 발생합니다.

 

햄스트링은 고관절뿐만 아니라 골반의 후방경사(뒤쪽으로 기울어짐)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과도한 햄스트링의 장력은 골반을 뒤쪽으로 기울여 허리의 정상 만곡을 굽히거나 편평하게 만들어 척추 주변 인대나 근육의 염좌 및 좌상을 유발하고 척추 스트레스를 증가시켜 디스크의 탈출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햄스트링
출처 : https://www.northernpilates.com.au/

 

허리를 숙여 땅에 있는 물건을 집을 때에는 허리만 숙이는 것이 아닌 고관절도 함께 굽혀져야 합니다. 만약 햄스트링이 긴장된 상태에서 몸을 숙이려 하면 잘 숙여지지도 않을뿐더러 과도하게 허리를 굽히면서 허리를 삐끗하게 됩니다.


햄스트링의 관리

현대인들은 학습환경이나 컴퓨터 작업으로 인해 앉아서 생활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무릎을 굽히고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는 햄스트링의 단축을 유발합니다. 서 있을 때는 햄스트링의 긴장을 느끼기 어렵지만 몸을 앞으로 숙여보면 햄스트링이 꽉 잡고 있는 느낌이 듭니다.

 

그런데 이 햄스트링을 늘이려고 막무가내로 스트레칭 해도 될까요?

 

우리 몸은 늘리고 싶다고 쉽게 늘어나지 않습니다.

 

햄스트링이 짧아진 상태가 오래되면 오래될수록 우리의 뇌는 그 길이를 정상길이라고 인식합니다. 그 상태에서 다리를 찢듯이 스트레칭을 하면 우리 뇌는 "아니 왜 자꾸 잡아당기는 거야!? 이대로 가면 근육이 다칠 수도 있으니 꽉 잡아줘야겠어!" 하고 놓아주지 않습니다.

 

물론 억지로 늘리면 늘릴 수야 있겠지만, 그 정도가 지나치면 잡아당기는 우리 몸과 스트레칭하는 외부의 힘에 의해 근육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그럼 뭐 어떡하라고

첫번째

두 커플이 손을 잡고 걷고 있습니다. 이때 여자가 예쁜 액세서리 가게를 들어가려고 할 때 남자가 같이 따라가주지 않으면 과연 그 가게로 들어갈 수 있을까요? 이때 남자가 같이 따라가 줘야 합니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입니다. 같이 손잡고 있는 근육 중 하나가 수축하려면 다른 하나는 이완되어야 합니다. 팔꿈치를 굽힐 때 이두근이 수축하고 삼두근이 늘어나는 원리입니다.

 

그럼 햄스트링의 커플은? 바로 대퇴사두근, 허벅지 앞쪽에 있는 근육입니다. 대퇴사두근이 수축하려면 햄스트링은 늘어나줘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상호 억제 이론(reciprocal inhibition)"입니다.

 

두 번째

여자가 액세서리 가게에 들어갔습니다. 쇼핑을 오래 하다 보니 슬슬 피곤하고 좁은 공간이 답답해지기 시작합니다. 이제 좀 나가서 바깥공기를 쐬고 쉴 필요가 있습니다.

 

이걸 눈치챈 남자는 여자를 가게에서 끌고 나옵니다. 여자도 마침 잘 됐다! 하고 따라나옵니다.

 

근육도 너무 과도한 수축으로 장력이 증가하면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 힘을 빼고 이완하기 위해 반대쪽 근육을 사용하게 합니다.

 

이것이 바로 "자가 억제 이론(autogenic inhibition)"입니다.


가장 안전한 햄스트링 스트레칭 방법

이론의 디테일한 내용까지 볼 필요도 없고, 이제 안전하게 스트레칭해야 할 이유는 충분히 이해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이론들을 이용한 스트레칭 영상을 보시고 따라해보시기바랍니다.

 


짧아진 햄스트링으로 고관절 및 허리 통증과 기타 불편을 겪으시는 분들은

위 동작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운동에 어려움이 있거나 도움이 필요하신 분들은 토리운동센터가 최선을 다해 도와드리겠습니다!

햄스트링

반응형